본문 바로가기

확인해 볼 뉴스

서울시 출산 무주택 가구 720만원 주거비 지원

서울시가 올해 출산한 가구를 대상으로 높은 집값에 서울을 떠나지 않도록, 주거비 부담을 덜어줍니다! 서울시 거주자이고, 무주택자라면 지금 당장 신청하세요!

서울시 주거비 지원

 

서울시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 제도 핵심 내용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에 2년간 주거비 최대 720만 원을 지원해요!

이 사업의 핵심은 서울에 살고 있는 무주택 가구가 아이가 태어나더라도 서울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수도권-서울 간 주거비 차액 수준인 월 최대 30만원을 지원하는 것에 있어요.

 

▶ 신청대상: 서울시 거주자이며, 25년 1월1일~ 6월30일 사이에 출산한 가구 대상 (상반기 모집)

※ 2025.7.1.이후 출산가구는 12월 접수(예정)

 

▶ 주택거주 형태: 월세 및 전세 모두 가능

 

▶ 지원방식: 임대료 또는 전세대출 이자 중 일부를 6개월 단위로 돌려받는 방식

 

▶ 신청기간: 2025년 5월20일(화)~ 7월31일(목)

 

 

서울시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 자격조건

 

 

1. 2025년 1월1일 이후로 출산 또는 입양한 가구

  입양아는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하인 아동*사회복지시설 입소 아동 제외

 

2. 무주택 가구

무주택자로 임차(전세, 월세)한 주택은 서울시 소재지여야 해요. * 임차주택가격 전세 7억원 이하 또는 월세 268만원 이하(월세는 보증금에 따라 금액 변동) ※ 무주택 판단기준 : 주택 및 분양권(공유지분) 등을 포함하여 본인 및 배우자 소유(상속취득) 주택이 없는 경우

    ★ 공공임대주택(장기전세, 청년안심주택, 행복주택 등) 입주자는 제외

    ★ 신혼부부 전세대출, 청년안심주택, 주거급여 등 다른 주거지원 정책과 중복 수혜는 불가

    ★ 지원 기간 동안 '무주택' 조건 유지해야 합니다. 단, 지원 기간 중에 청약 당첨으로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 입주(잔금 납부) 전까지 무주택 조건이 유지 됩니다!

 

3. 서울시 거주 가구

출생아의 출생신고 및 부 또는 모의 주민등록도 서울이어야 해요.

출생(입양)아는 부 또는 모의 주민등록상 주소를 같이 해야 돼요.

 

단, 지원자가 타시도 전출, 주택구매의 경우 지원중단 됩니다.

 

4.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180%이하 중 및 전세가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인 임차 주택 대상으로 지원 (주택면적 전용 85㎡ 이하)

    ★ 반전세, 월세 가구는 전세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13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 ’25년 기준 : 3인 가구 연간 108,547,625원, 4인 가구 연간 131,711,897원

[반전세, 월세 가구 산식 적용 예시]
ex) 전세 1억 5천 + 월세 60만원 반전세 가구의 경우
전세 1억5천만원의 월세 환산액 및 월세 합산 금액이 120만원으로 월세 기준액 130만원 이내이므로 신청 가능!
계산식: 전세 1억5천만원의 월세 환산액 60만원 (=1억 5천 x 전월세환산율 5.5% /  12개월, 만원단위 절사) + 월세 60만원

 

서울시 주거비 지원

 

 

서울시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 지원금액

 

지원 금액: 월 최대 30만원

    ★ 다태아 출산 또는 지원기간 중 추가 출산 시: 기존 2년에서 1~2년 연장, 최장 4년까지 지원 가능

[주거비 지원기간 연장 예시]
(추가 출산) 첫째 출산 (기본 2년) + 둘째 출산 (1년 연장) + 셋째 출산 (1년 연장)
(다태아 출산) 쌍태아 출산 (기본 2년 + 1년 연장), 삼태아 이상 출산 (기본 2년 + 2년 연장)

 

지원 기간: 기본 2년

 

지급 방식: 선지출 및 사후 지급 방식

6개월 단위로 4번에 걸쳐 분할 지급되며, 최종 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전세대출이자/ 월세 납부 내역을 증빙한 뒤, 납부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받게 됩니다!

ex: 전세로 거주하는 가구가 전세대출이자로 매월 20만 원 납부하고 있다면, 월 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받아요!

 

 

 

서울시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 구비서류 및 신청방법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에서 신청 가능

몽땅정보만능키 사이트 바로 가기

 

▶ 신청기간: 2025년 5월20일(화) ~ 7월31일(목)

▶ 자격검증 기간: 2025년 8월~ 9월

최종 선정: 10월

▶ 지원금 지급: 11월 ~ 12월 사이/ 12월 1회차에 6개월분이 첫 지급 예정

서울시 주거비 지원

 

 

▶ 구비서류(4종)
- 임대차계약서 사본 + 금융거래확인서(전세 거주) 또는 월세 이체증(월세 거주)
- 청약홈 주택소유현황(부, 모 각 1부)
- 가족관계증명서(부, 모 각 1부)

 

 

▶ 문의사항

서울시 저출생 담당관(☎02-2133-5025)

서울시여성 가족재단(☎1533-1465)

 

 

 

 

 

 

▼▼▼다른 사람들이 흥미롭게 읽은 글들▼▼▼

▶ 산후조리원 지원금 최대 30만원 세액공제 방법

 

 

산후조리원 지원금 연말정산 세액공제 비용 환급 (최대 30만원 절약!)

출산 후, 산모 약90%가 가는 산후조리원! 하지만 해가 갈수록 평균 수십만원 씩 가격이 올라가고 있는데요, 2025년 기준 전국 산후조리원 평균 비용은 286만원, 특히 서울 민간 산후조리원 평균 비

haetoby.tistory.com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 방법 총정리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 방법 총정리(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꿀팁까지!)

출산 후, 가장 중요하면서도 고민이 많은 산후도우미 업체선정! 좋은 산후도우미님을 만날 수 있도록 정부지원금 신청방법과 본인부담금, 그리고 업체선정 꿀팁까지 모두 완벽하게 설명해드리

haetoby.tistory.com

 

 

▶국민행복카드 임신바우처 혜택비교 총정리

 

 

국민행복카드 임신바우처 혜택 비교 혜택 총정리

임산부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임신 ·출산 지원금!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민행복카드를 만들어야하는데요, 가장 똑똑하게 나에게 딱 맞는 혜택 가득한 카드사로 선택할 수 있도록

haetoby.tistory.com

반응형